The Sydney Korean Herald
MAIN NEWS The Korean Herald 22th May 2020 A3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발생이전의세상은이제다시오지않 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 장은지난4월11일코로나19대응정례브 리핑에서이처럼밝혔다.신종감염병사태 로우리삶의형태가크게뒤바뀔것을시 사한말이다.그대표적인케이스가‘언택 트(Untact)’다.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 (contact)’에부정접두사‘언(un)’이더 해져탄생한‘언택트’는사람간대면을 최소화하려는최근트렌드를의미한다. 언택트는 이번에 처음 등장한 개념은 아니다. 처음이단어가등장한건 2017년 무렵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언택트는 인 간관계에서오는스트레스를기피하는 1 인 가구와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 중 하나 정도로 여겨졌다. 코로나19 사태는 ‘언 택트 시대’를 여는 트리거(기폭제)가 됐 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언택트가 향후 우리 삶의 트렌드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는얘기다. 집, 휴식 공간에 휴식 공간에 사무실·체유관 개념 더해져 그렇다면바이러스가낳은언택트트렌 드는 우리 의식주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까. 먼저주거에대한인식이바뀌고있다. ‘사회적인거리’를위해집에머무르는 시간이길어지면서집의중요성이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스마트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아파트에 AI와사물인터넷(IoT) 등첨단기술을적용 해 거주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 다.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한 출입 시스템, 세대 내 환기 시스템과 연계되는 음성인 식 IoT 홈큐브,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모 바일 커뮤니티 예약 시스템 등이 대표적 이다. 언택트 트렌드의 확산으로 스마트홈이 적용된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금 까지는 주택 매매 과정에서 입지가 가장 중요시됐지만, 이제는 주택의 상품적 요 소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 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최근 입지 보다 특화공간이나 다채로운 커뮤니티, 특화시스템, 주거서비스등‘상품’쪽 을중요시하는분위기가형성되면서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 다”며 “과거 입지에 따라 지역별 발전 이 이뤄졌다면 이제는 신축 아파트를 중 심으로 인프라가 조성되는 등 개발이 이 뤄지는추세”라고설명했다. ‘집=휴식공간’이라는 인식에도 변 화가 감지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재 택근무가 시작되면서 집을 사무공간으로 활용하려는 ‘홈오피스족’도 늘어나고 있는것이다. 실제온라인쇼핑몰인G마켓 과 옥션은 재택근무와 개학 연기 영향으 로 사무용·학습용 가구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고밝혔다. 고용노동부는향후에 도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에 많은 기업 이관심을가질것으로전망했다. 서재등 사무공간이 가내 필수 공간으로 자리 잡 을것으로예상되는대목이다. 야외활동이 줄고 홈 트레이닝을 하는 이가 늘어나면서 집은 체육관 기능도 더 해지고 있다. 이베이코리아가 올해 1분기 매출을 분석한 결과, 트위스트 운동기구 (113%), 에어보드(68%), 아령(29%), 덤 벨·바벨(28%), 다이어트 용품(19%), 헬 스기구(13%) 등홈트레이닝용품의판매 가전년동기에비해큰폭으로상승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활용성이 많지 않던 아 파트 ‘알파룸’도 재조명받고 있다. 향 후 서재 혹은 홈 트레이닝 공간으로 사용 영역이확장될가능성이크기때문이다. 집에있는시간이길어지면서인테리어 시장도때아닌호황을맞고있다. 실제코 로나19사태에도인테리어와건자재업체 들은 올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올렸다. 한샘은 내부 인테리어와 리모델링을 한 번에해결하는‘리하우스패키지’판매 량이 늘어나면서 매출액(4934억9600만 원)이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다. LG하우시스의 경우 올해 1분기 고급 건 자재판매가호조를보이면서영업이익이 전년대비89.9%늘었다. 모바일인테리어플랫폼의매출도두드 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집에머무르는시간이길어진집콕족들이 ‘셀프인테리어’에재미를들이면서다. 이에따라‘오늘의집’과‘집닥’등의 3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16년 28조4000억원이던 인테리어·리 모델링 시장 규모가 올해 41조5000억원 까지 커졌고, 향후에도 계속 성장세를 보 일것으로전망했다. 언택트트렌드로우리밥상에도변화가 생겼다. 언택트로‘홈밥(Home+밥)’문 화가확산되면서 1인가구나디지털노마 드족의 등장으로 호황을 맞던 배달음식 시장은더욱커질조짐을보이고있다. 배 달대행업체바로고가올1분기수행한배 달 건수는 2102만90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9% 증가했다. 또 식재료를 집 앞 까지 배송해 주는 마켓컬리와 쿠팡 등 온 라인몰도 매출 증가로 행복한 비명을 지 르고 있다. 식재료 현관 배송업계 후발주 자인오아시스마켓은코로나사태로인한 언택트 소비 트렌드로 지난달 처음으로 온라인매출100억원을돌파하기도했다. 송응철기자 코로나19 이후 우리 의식주 어떻게 변할까 ‘스마트홈’에서업무보고온라인으로쇼핑한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TUxNzI=